안녕하세요.
|
ML/AI 연구원 양원희입니다.

thumbnail
배그 데이터 분석

일단 프로젝트 리드미만 옮겨놓기 … PUBG Analysis PUBG(PlayerUnknown’s Battlegrounds)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수정 진행 중 입니다.) 프로젝트 개요 🎯 목표 배틀그라운드에서 게임 순위를 높이는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입니다. 특정 맵과 클러스터에서 얼마만큼의 이동거리와 데미지를 내야 우승 확률이 높은지를 분석합니다. 📊 데이터 사용 기간: 2017~2018년 PUBG 매치 데이터 분석 범위: 주요 맵인 에란겔(Erangel) 과 미라마(Miramar) 주요 변수: 이동 거리(, ) 데미지() 파티 크기 및 스쿼드 유형(솔로/듀오/스쿼드) 생존 시간() 킬 수() 🧩 전제 조건 플레이어는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고 가정: 교전 선호형: 적극적으로 교전을 즐기는 플레이어 생존 우선형(존버): 교전을 최소화하고 생존을 우선하는 플레이어 균형형: 적당히 파밍하고 교전을 선택적으로 즐기는 일반적인 플레이어 맵별로 교전 지역 및 플레이 스…

새싹해커톤 대상 후기

대회 끝나자마자 쓰고 싶었는데, 이런저런 일들로 .. 이제야 올립니다. 아! 물롱 대회랑 상관 없는 일임. 시작하깨효 ..? (사담 가득 주의) 🌏 팀 구성 2024년 6월 쯔음 .. 졸업논문을 마무리하고 여유가 생겨서 그동안 참여해보고 싶었던 해커톤을 찾아보게 되었다. 그동안 눈팅만 해오던 데이콘에서 새싹해커톤을 보고 일단 팀 빌딩을 지원해주는 운영사무국의 오픈채팅방에 들어갔다. 참가할지 말지 고민하던 중, 하린님(PM)의 아이디어를 보고 너무 좋은 나머지 무작정 팀에 들어가게 되었다. 많은 아이디어 중, 하린님의 아이디어를 채택한 (내가뭐라고) 이유는 이 주제였는데 여기에 너무 찰떡인 아이디어 이면서, PM이 개발 쪽에 대해 모른다면 제한 없이 무궁무진한 아이디어를 잘 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 열정가득한멘트) 모든 개발자들이 그런건 아니지만, 나는 아이디어를 생각하다보면 <어떤 기술을 쓸지, 이게 구현 가능할지> 부터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석사학위논문 회고

기계학습 기반 종양 세포 식별 방법에 관한 연구 1. 개요 처음 졸업 논문에 대한 방향은 대장염 연구에 이어 크론병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려고 했다. 2023년 3월 입학 후 10월까지는 크론병에 관한 내용과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고 있었는데… 이런 저런 이유들(병원 교수님 컨택 실패, 머신러닝에 대한 관심 등) 으로 졸업 논문 주제를 바꾸게 되었다. 원래 연구실에서 진행하고 있던 프로젝트이기도 했고(저널에 내려고 했음), 생물 관련한 쪽보다는 머신러닝에 관심이 너무너무 많아서!! 를 택하게 되었다. 연구실에 들어온게 2021년 11월 경이고, 이 프로젝트가 실제로 시작된 시기는 2022년 4월이다. (사실상 장기 플젝) 연구실에서 하고있는 다른 연구과제들이 많아서 아주 천천히 진행되고 있었다…… 사실 미룬거임… 미룬이가 되, 2. 일정 졸업 논문 주제 변경 후, 일정이 타이트하게 진행되었다. 타이트한 만큼 마무리 과정이 험난했다.. 특히 디펜스(1차 논문심사)에서 엄청 …

99클럽 코테 스터디 16일차 TIL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문제 👉 모음사전 문제 링크 🌱 전체 코드 정답 코드 💬 오늘의 회고 어떤 문제가 있었고, 나는 어떤 시도를 했는지: 🤦‍♀️ 처음 제출했을 때의 제출내역이 기록에 안남아서 .. (아마 틀려서 그런 듯) 코드가 없어졌다. 기억을 대충 꺼내보자면,, 정답 코드에서는 경우의 수를 사전 순에 맞게 계산을 해준거라면, 처음 짠 코드에서는 앞의 경우의 수를 다 계산해서 더했다고 해야하나 .. 일단 ㅠㅠ 오늘 TIL 시간이 조금 늦어서 ..! 회고를 짧게 쓸 수 밖에 ㅠㅠ 완탐 관련해서 조금 더 공부를 해야겠다고 느꼈다. 오늘 배운 것: 부족함.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문제 🌱 전체 코드 정답 코드 💬 오늘의 회고